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환율 [기준일시] 07월 01일 08:40

통화명     매매기준율    전일대비
  USD         1353.50       ▽2.90
  JPY100   940.78       ▲1.80
  EUR         1595.10       ▲3.30
  CNY           189.13       ▽0.0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일간 환율동향 리포트 (퍼옴)

[금일 달러/원 환율 1,345~1,355원 전망]|금일 달러/원 환율 1,345~1,355원 전망

금일 달러/원 환율 1,345~1,355원 전망,
NDF 1,349.70원 (+2.45원)


달러/원 환율, 양방향 수급 대치에 혼조, 연기금과 대만 생보사 물량 주목

- 금일 달러/원 환율은 역외 거래를 감안해 1,350원 부근에서 개장 예상
- 달러 약세에 따른 추격 네고와 연 저점 경신으로 인한 저가 매수 결제 수요가 서로 팽팽하게 대치
- 다만 뉴욕증시 호조 등 연기금의 해외투자를 위한 달러 환전 수요가 약 달러 영향을 일부 상쇄할 가능성
- 한편 역외에서는 글로벌 달러 약세로 인한 대만 생보사의 원화 프록시 헷지 물량 출회 여부에 주목
- 금일 장은 양방향 수급 대치에 혼조세 보일 전망




글로벌 동향, 트럼프의 연준 압박, 캐나다의 디지털세 철회에 달러 약세


- 전일 미 달러화는 연준 금리인하 기대와 무역협상 낙관론에 약세
-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49% 하락한 96.78pt로, 2022년 3월 이후 최저치
-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연준에 금리인하를 압박
- 파월 의장을 비롯해 연준 이사회 전체를 지목하며, 금리동결에 대해 부끄러워해야 한다고 언급
- 이에 미국 국채금리는 장단기물 모두 하락, 벤치마크인 10년물 금리는 5.0bp 하락
- 한편 미국과 각국의 무역협상 타결 기대가 커진 것도 달러 약세에 기여
-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가 미국 빅 테크 기업에 이른바 '디지털세' 부과를 통해 차별적 대우를 시도하고 있다고 비난
- 이에 전날 캐나다 정부는 디지털세 부과 방안을 철회하며 미국과의 협상 기대가 강화
- 뉴욕증시는 연준 금리인하 기대와 무역협상 낙관론에 따른 위험선호에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 나스닥 및 S&P500 지수는 사상 최고치 경신



마켓 이슈,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및 달러 환전 수요, 달러/원 하단 지지 요인

- 전일(30일) 서울 외환시장 정규장에서 달러/원 환율이 장중 일시적으로 1,340원대에 진입하며, 그동안 강한 심리적 지지선으로 여겨졌던 1,350원을 하회
- 이는 미 달러화 약세에 더해 반기말 수출업체 네고 물량 출회 등 계절적 요인까지 겹쳐진 탓
- 하지만 최근 환율 하단을 지지했던 여타 수급 요인을 감안했을 때, 환율 저점이 더욱 낮아질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는 판단
- 특히 국내 기관 중에서 가장 '큰 손'인 국민연금의 해외투자를 위한 달러 환전 수요에 주목할 필요
- 지난주 금요일 발표된 국민연금기금 운용수익률 보고서에 따르면, 4월말 국민연금 해외투자 (주식+채권) 잔액은 516조원
- 이는 연말 해외투자 목표 잔액인 566조원보다 약 50조원 (약 370억 달러) 적은 금액
- 즉 현재 외환시장에는 국민연금發 달러 환전 수요가 여전히 대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올해 달러/원 환율의 하단을 지지하는 주된 재료가 될 것으로 판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