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비바테크 2025: 유럽 최대 기술 박람회에서 본 AI와 그린테크의 미래

비바테크 2025 개요 - 세계 3대 기술 전시회로 성장

비바테크 2025가 6월 11일~14일 프랑스 파리 포르트 드 베르사유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유럽 최대 규모의 기술 전시회로 자리잡은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 120개국에서 13,500여 개 스타트업과 50여 개국의 3,500여 기업이 참가했습니다.
엔비디아 CEO 젠슨 황, 알리바바 공동 창업자 조우 차이, 메타 AI 책임자 얀 르쿤 등 400명 이상의 글로벌 혁신 리더들이 참여하며, 미국 CES, 스페인 MWC와 함께 세계 3대 기술 전시회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프랑스 '라 프렌치 테크' 정책의 성과

비바테크의 성장 배경에는 프랑스 정부의 적극적인 '라 프렌치 테크(La French Tech)' 육성 정책이 있습니다. 2017년 마크롱 대통령이 발표한 이 정책은:

  • French Tech Visa: 창업자·기술인력·투자자에게 최대 4년 체류 보장
  • French Tech Next40/FT120: 성장성 있는 스타트업 집중 육성
  • 샌드박스 제도: 혁신 기술의 시장 진입 촉진
  • Bpifrance 투자: 국영 투자은행을 통한 벤처 펀드 조성

AI와 로봇 기술 혁신의 현장

유럽의 AI 기술 주권 선언

마크롱 대통령과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의 대담에서 **"유럽이 AI의 미래를 스스로 구축해야 한다"**는 기술 주권 의지가 강조되었습니다.
젠슨 황은 **"지능을 아웃소싱할 수 없다"**며 국가 차원의 AI 인프라 투자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인간과 교감하는 로봇의 등장

전시장에서는 다양한 혁신 로봇들이 주목받았습니다:

  • 엔비디아 '그렉(Grek)': AI 기반 디지털 시뮬레이션으로 학습한 2족 보행 로봇
  • Enchanted Tools 'Mirokaï': 음성·표정 인식하며 감정 표현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 Unitree G1: 복싱 동작과 뛰어난 균형 제어 능력을 보여준 로봇
  • Blue Frog Robotics 'Buddy': 얼굴 표정과 음성 인식으로 교감하는 교육용 소셜 로봇

 

AI 기반 산업 혁신 사례

뷰티·패션 산업의 AI 혁명

  • 로레알: AI 기반 실시간 피부 분석 및 맞춤형 제품 추천 시스템
  • 유니레버: 피부톤 맞춤 AI 색조 추천 기술
  • LVMH: AI 트렌드 분석과 가상 착용 경험(Virtual Try-on) 기술

 

의료·헬스케어 혁신

  • 오킨(Owkin): 유전자 데이터와 병리 이미지 분석으로 암 치료 반응 예측
  • 소니오(Sonio): AI 초음파 영상 분석을 통한 태아 이상 징후 조기 감지
  • Sanofi x McLaren Racing: F1 기술을 의약품 생산에 적용한 디지털 전환 성공 사례

 

그린테크 - 유럽 시장의 핵심 가치

**'Sustainability, Climate & Mobility'**가 공식 테마로 지정되며 지속가능성 기술이 주목받았습니다:

  • Sweetch Energy: 바닷물-민물 염도 차이 활용 '블루 에너지' 발전 기술
  • Carbonfact: 패션·신발 업계 특화 탄소 관리 SaaS 플랫폼
  • VusionGroup: AI·RFID·IoT 결합 스마트 매장 관리 솔루션

 

한국 스타트업의 글로벌 도약 기회

이번 행사에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한국무역협회(KITA),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등이 협업하여 4개 전시관을 운영했습니다. AI·로보틱스·헬스케어, 디지털 혁신, 문화 콘텐츠, 디지털 제조 등 다양한 분야의 한국 기업들이 참여했습니다.

유럽 시장 진출 전략

  1. ESG 중심 솔루션: 탄소 감축과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는 실질적 기술 개발
  2. 현지 파트너십: 프렌치테크 커뮤니티와의 공동 R&D 및 비즈니스 모델 구축
  3. 철저한 현지화: 언어·법제·소비자 성향을 고려한 맞춤형 전략 수립

마무리: 미래 기술 트렌드의 방향성

비바테크 2025는 AI와 로봇 기술의 융합, 지속가능성 중심의 그린테크, 개인화된 산업 혁신이 미래 기술의 핵심 동력임을 명확히 보여주었습니다. 한국 스타트업들이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와 유럽 시장의 특성을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한다면,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원문 출처: KOTRA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10&CONTENTS_NO=1&bbsGbn=245&bbsSn=245&pNttSn=231199)

728x90
반응형